이 글에서는 LG생활건강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투자 대상을 선택하기 전에 현재 기업의 현황과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LG생활건강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모아 제공하오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3년에 해당 주가는 전년에 비해 56% 하락한 상태입니다. 특히, 2021년에는 한때 200만 원을 돌파하는 등 높은 가치를 기록했던 주가가, 현재는 178만 원에서 31만 원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2010년 이후 처음으로 33만 원 미만의 가격으로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하락은 현재가 2023년이지만 13년 전의 가격 수준으로 돌아간 것과 같은 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2023년의 주가는 이전의 명성을 크게 상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수요 대비 일본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고 해서 주가 정리및 요약을 해 보았습니다.
▶ LG생활건강 기업 개요
LG생활건강는 개인생활용품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이정애 이며 설립일은 2001/04/03, 주식 상장일은 2001/04/25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4,461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58입니다.
최근 뉴스
투자 결정에 신속한 정보 습득이 필요하므로 항상 최신 뉴스를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 LG생활건강 주가 분석
LG생활건강 현재 주가는 350,500원이며 전일 대비 -21.50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LG(외 1인)이 지분 34.04%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는 개인생활용품 기업으로 장중 기준으로 주가는 350,500원 입니다. LG생활건강의 시가 총액은 5조4351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30.14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29,744% 이며 장중 거래량은 15,618,197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52,376억 원, 영업이익은 7,111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15,381원이며 LG생활건강 주식 배당수익률은 0.55% 입니다.
주주 조합 정보는 단기 투자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 중이라면 주주 조합과 대표자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LG생활건강 가치 분석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LG생활건강는 전체 기술주 2,071개 기업 중 23위 등급인 상위 4.17%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48개 기업 중 2위 등급인 상위 4.17%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22개 기업 중에서는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상위 16.85%, 대표 섹터 상위 27.08%, 대표 테마 7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 LG생활건강 주식 결론
<중국 수요 감소, 일본 판매 급증>
-동사는 2001년 4월 LG화학에서 분할 신설되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화장품 및 생활용품, 음료 등을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Beauty 사업부문은 '더후', '숨37˚', '오휘', '빌리프', 'CNP', '더페이스샵(TFS)' 등 다양한 럭셔리 및 프리미엄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음. HDB 사업부문은 동사의 가장 오래된 사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굳건한 1위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은 25.8% 감소, 당기순이익은 24.2% 감소. 유통사의 수익성 중심 경영 기조 지속과 중국 수요 약세로 면세점 채널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5% 감소했고, 중국 화장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하락함. 일본 대표 온라인 쇼핑몰 큐텐(Qoo10)에 화장품을 출시한 지 약 6개월 만에 300%에 달하는 매출 신장률을 기록함.
중국 경기의 둔화와 해당 지역에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 감소로 인해 실적이 영향을 받아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중국 시장에 대한 마케팅 투자 확대와 M&A 등으로도 이익 감소가 예상되어, 당분간은 영업이익의 하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사들 중 많은 기관들이 매수에서 중립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특히 하나증권은 목표주가를 33만 원으로 하향 조정하여 현재 주가보다 낮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은 이 상황을 고려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THE WHOO(더후)의 리브랜딩을 시작하고, M&A를 통해 색조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비바웨이브 지분을 인수하는 등 중국 시장에 대한 대응책을 시행 중입니다. 그러나 중국 경기의 계속된 둔화와 LG생활건강의 중국 사업으로의 지속적인 투자가 이어진다면 당분간 주가가 더 하락할 가능성도 고려되고 있습니다.
댓글